https://tdgall.com/345054845
view 381
2024.05.24 03:02
용어 아예 기존 헌터물이랑 좀 다르게 설정한건 걍 차별화 두고 싶어서 그런가보다 하고 넘겼는데
건국신화 가져오고 한자로 종족 구분이나 용어 쓸거면 왜 영어랑 섞어서 쓰는지 아직 모르겠음


스킬에는 광림, 이종족은 호족 웅족 토족 이런 전통적인 한자단어로 붙여놓고

헌터는 플레이어, 몬스터?는 에너미, 도구같은건 아이템 카드 이런건 너무 전형적인 영어 단어로 붙여놓고

게이트랑 던전은 또 이계라고 부름... 너무 통일성 없는거 같는데 따로 이유가 있음?


아직 초반부긴 한데 네이밍이 굉장히 애매하다고 봄



일단 게임 설정이니까 사용자와 직접 관련된 건 친숙한 영어로 설정한건가 싶긴 한데 세계관이 극동양풍 뼛속까지 건국신화 너무 고전한국... 그걸 가져와서 괴리감이 심함
그냥 컨셉 제대로 맞춰서 플레이어 대신 한자로 뭔 용어 새로 만들든 퇴마사로 퉁치든 하고 마법은 주술이라 치고 아이템카드는 수납부적, 봉인 두루마리라 하든가...
그냥 새로 개발하는 에어보드 같은거에나 영어 써도 됐었을 거 같은데 모르겠다 내가 게임을 안해서 나만 괴리감 느끼는 거임?
2024.05.24 03:12
ㅇㅇ
모바일
나도 동의..내가 본 데까진 특별히 이유를 설명하진 않았던 것 같은데 그래도 명급리 세계관이 원래 모바겜이었다는 설정 생각하면 대충 퉁쳐서 볼 수 있더라
[Code: 5f22]
2024.05.24 03:17
ㅇㅇ
모바일
나는 헌터물을 차용한 독자적 세계관이라 생각하면서 봄 아예 현판헌터물 맛은 아니어서... 볼수록 설정 엄청 열심히 짜놓은 티가 나는데 그게 친절한 편은 아니었음 용어는 걍 작가 센스가 좋지 않아서 생긴 일 같기도
[Code: 5089]
2024.05.24 03:28
ㅇㅇ
모바일
한국신화만 나오는게 아니라서 그런 듯 나중에 명계랑 루의 창 드루이드 등등 이런 쪽 나오는데 퇴마사라고 부르면 너무 동양판타지 느낌인데 저런 거 나오는 게 몰입 더 깨질듯
[Code: 05c0]
2024.05.24 05:24
ㅇㅇ
일단 에너미는 이유가 있음 이건 나중에 나와 그리고 여타 영어 단어들은 국립국어원에서 언어 순화 실패했다는 얘기도 도중에 나오더라ㅋㅋㅋ 근데 세계관이 뼛속까지 건국신화 이런 건 아냐 애초에 호랑이들이 주축일 때부터 건국신화랑은 반대지 그리고 헌터물이라기보단 아카데미물이고, 동양풍이라기보단 걍 현대물임 그래서 나곰은 전세계적인 현상에 영어로 이름이 붙는 거라고 이해했어
[Code: 30cb]
2024.05.24 06:49
ㅇㅇ
모바일
전세계의 신화/민담이 실제 현실화된거임.. 단군신화에서 각색한 명급리 한국의 개천신화가 있고, 명급리 배경이 한국이니까 한국에 터잡은 신화의 요소들이 많을수밖에 없음... 근데 그리스신화, 북유럽신화 등 다른 문화권의 진족들도 나중에 많이 등장함. 그리고 인간들 세계와 신화의 세계가 합쳐진지 90년?밖에 안된 근미래 설정임. 그러니까 1950년대??쯤에 갑자기 이능/진족 이런게 생긴거임.. 당연히 관련단어들도 그때 생김. 그러니 한자어/영어가 혼재함. 그리고 기본적으로 아카데미물이기 때문에 학내 행사, 동아리, 학급친구들 이런 얘기 많이 나오고, 생각보다 이계공략 비중 적음... 아무튼 독자적인 세계관이 익숙하지 않아서 헷갈릴수 있는데 읽다보면서 익숙해지면 됨.
[Code: ec59]
댓글 작성 권한이 없음
글쓰기 설정